재무제표란 기업의 재무상황을 나타내는 보고서로 지난해 기업의 성과를 보여줄 성적표와 같은데요.
이번 글에서는 재무제표의 종류와 간략하게 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재무제표는 크게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공하는 정보가 전부 다릅니다.
재무상태표 | 재무상태 |
손익계산서 | 경영성과 |
현금흐름표 | 현금흐름 |
1. 재무상태표 Balance Sheet (BS)
특정 시점에 법인의 재무상태를 제공하는 보고서입니다.
당기와 전기의 자산, 부채, 자본을 함께 표기함으로써 변동을 한눈에 비교할 수 있습니다.
자산과 부채는 현금화 및 상환 기간에 따라 1년 이내의 유동, 1년 이상의 비유동으로 나뉘게됩니다.
유동성이 높은 순으로 배열하게 되어있으며 현금화가 얼마나 용이한지를 따져야 합니다.
자본은 주주가 투입한 자본금, 기업 내부에서 발생한 가치 변동으로 인해 발생한 자본의 변동액인 기타자본구성요소, 당기순이익이 누적되어 쌓여온 이익잉여금 이렇게 세가지 항목으로 구분됩니다.
I | 자산 Total Asset | II+III = IV+VII |
II |
| |
III |
| |
IV | 부채 Total Liability | V+VI |
V |
| |
VI |
| |
VII | 자본 Total Equity | VIII+IX+X |
VIII |
| |
IX |
| |
X |
|
이 때 재무상태표를 자세히 보시면 자산 = 부채 + 자본인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법인 운영을 위해 주주가 투입한 자본금과 채권자에게 빌린 부채로 자금을 조달하면 법인 운영에 사용될 자산이 되기 때문입니다.
자산 Asset | 부채 Liability (타인자본) |
자본 Equity (자기자본) |
2. 손익계산서 Profit and Loss Statement (PL)
정해진 기간 내 벌어들인 수익에 발생한 비용을 차감하여 얼마만큼의 이익 또는 손실을 보았는지 보여줌으로써 경영성과에 대한 지표가 됩니다.
매출에서 주된 영업으로 인한 매출원가, 영업비용을 차감하고 영업외 수익과 비용을 가감하여 나타냅니다.
I | 매출 Revenue | |
II | 매출원가 Cost of sales | |
III | 매출총손익 Gross profit/loss | I-II |
IV | 영업비용 Operating expense | |
V | 영업손익 Operating gain/loss | III-IV |
VI | 영업외수익 Other income | |
VII | 영업외비용 Other expense | |
VIII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익 Net profit/loss for the year | V-VI-VII |
IX | 법인세 비용 Income tax expense | |
X | 당기순이익 Net profit/loss for the year | VIII-IX |
3. 현금흐름표 Cash Flow Statement
특정 기간동안 운영에 필요한 자금을 어떻게 조달했고, 어디에 사용했는지 영업, 투자, 재무 활동별로 분류하여 보고하고 있습니다.
앞서 안내드린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와는 다르게 현금기준에 기초하여 작성되어 미래 현금흐름 예측을 도와주고, 채무 지급 능력을 보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I. | 영업활동 현금흐름 |
II. | 투자활동 현금흐름 |
III. | 재무활동 현금흐름 |
IV. | 현금의 증가/감소 (I+II+III) |
V. | 기초의 현금 |
VI. | 기말의 현금 (IV+V) |
4. 총계정원장 General Ledger
재무제표를 작성하는데 가장 기초가 되며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의 모든 계정을 수록한 장부입니다.
계정별로 일자별 가감항목과 변동액, 잔액 누계액을 확인할 수 있으며 재무상태표에는 잔액 누계액이, 손익계산서에는 변동액이 반영됩니다.
오늘 이렇게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와 추가로 총계정원장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실 경우 아토즈 문의 채널을 통해 상담을 요청해주시면 안내해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